'기독 청소년 신앙의식'에 대한 목회데이터연구소 '주간 리포트' 

최근 10년 새 교회학교 학생들의 감소 속도가 일반 초중고 학생들의 그것보다 2배가량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독 청소년 3명 중 1명은 향후 교회 출석이 불투명한 것으로 조사됐다. 

목회데이터연구소(이하 연구소)는 지난 5월 12일부터 24일까지 교회 출석 중·고등학생 5백 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등 학생들과 관련된 각종 조사 결과를 토대로 '기독 청소년 신앙의식'에 대한 '주간 리포트'를 7일 발표했다. 

일반 학령인구 10년 새 19% 감소
같은 기간 교회학교 학생 37% 감소  

 

©목회데이터연구소
 ©목회데이터연구소

우선 연구소는 예장 통합총회 교세통계자료와 일반 학령인구에 대한 교육부의 올해 교육기본통계조사 결과를 비교했다. 이에 따르면 일반 학령인구의 경우 2013년 653만 명에서 2022년 527만 명으로 10년간 19% 감소한 반면, 교회학교 학생(예장 통합)은 2013년 34만 명에서 2022년 21만 명으로 10년 새 37%가 줄어들었다. 일반 초중고 학생들의 감소 속도보다 2배가량 더 빠른 것이다.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 지난 10년간 일반 학령인구는 4%만 줄어든 것에 반해, 교회학교는 무려 36%가 줄어 교회학교 초등부에서 매우 큰 위기를 보이고 있다고 연구소는 전했다. 

또 교회 출석 청소년들에게 어른이 된 후에도 교회에 계속 다닐 것 같은지를 물은 결과, 전체의 66%가 '계속 다닐 것 같다'고 응답해 2021년 조사보다 6%p 상승했다. '그만 다닐 것 같다'는 의견은 2021년 17%에서 2023년 12%로 감소했다. 

연구소는 "그러나 여전히 개신교 청소년 3명 중 1명(34%)은 성인이 되면 교회에 나갈지 여부가 불투명하다(그만 다닐 것 같다+잘 모르겠다)는 인식을 보여 이들의 불안정한 신앙 정체성을 알 수 있다"고 했다. 

코로나로 장년보다 청소년이 더 신앙 약화  

지난 코로나19 상황도 기독 청소년들의 신앙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 이전 대비 주일 현장예배 참석률은 코로나19 이전을 100%로 봤을 때 2023년 5월 기준 장년은 86%, 청소년은 79%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현장예배 회복률이 장년의 그것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코로나 이후 신앙 약화도 청소년이 더 심했다. 신앙이 '코로나 이전과 비슷하다' 44%(장년 51%), '약해진 것 같다' 40%(장년 32%), '오히려 깊어진 것 같다' 16%(장년 17%)로 신앙 약화 현상이 장년에 비해 더 두드러졌다고 한다. 

예배 만족도와 이유, 공과공부 참여율 

이 밖에 기독 청소년들의 예배 만족도(매우 35%+약간 만족한다 46%)는 81%로 매우 높은 편이었다. 예배 만족 이유로는 '찬양'(28%), '친구들과의 교제'(25%), '말씀'(24%) 순으로 꼽았고, 예배 불만족 이유로는 '설교 시간'(31%)을 '친구들과의 관계'(13%), '설교 말씀'(12%)보다 더 많이 꼽았다. 

또 기독 청소년들 중 공과공부를 하고 있는 비율은 58%, 안 하고 있는 비율은 42%였다. 지난주 학생예배를 드린 이들 중에선 전자가 69%, 후자가 31%였다. 

공과공부를 하지 않는 청소년들에게 그 이유를 묻자 가장 많은 45%가 '성경공부 교재가 재미없어서'라고 답했고, 다음으로 '공과공부를 통해 얻는 신앙적 유익이 없어서' 21%, '성경 공부 방법이 단조로워서' 7% 등의 순이었다. 

이에 대해 연구소는 "말씀을 기초로 하되 청소년들의 흥미와 관심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공과공부 교재의 마련과 교구 활용 방안 등을 모색해야 하겠다"고 했다. 

"청소년은 달라지는데 교회는 안일한 태도" 

연구소는 "한국교회의 과제이자 주요 관심 대상인 '다음 세대'는 현재 여러 조사 결과에서 위험한 징후를 보여주고 있다"며 대표적인 것으로 △신앙 양화와 △교회 이탈을 꼽았다. 

연구소는 "기독 청소년들이 교회 예배에 만족하는 이유를 보면, '찬양', '친구들과의 교제', '설교 말씀'이 24~28% 사이에서 비슷한 비율로 응답했다"며 "예배에 대한 관심이 다양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또한 "공과공부에 만족하지 않는 이유로 '성경공부 교재가 재미없어서'라는 응답이 45%로 다른 이유보다 최소 2배 이상 높았다"며 "여기서 '재미'란 무엇일까? 청소년기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면 단순한 즐거움(fun)이 아니라 관심과 흥미(Interest)에 더 가깝다. 청소년들이 그 나이에 관심을 가지고 흥미를 느낄만한 내용이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했다. 

"그런데 성경공부 교재가 그러하듯 교회의 청소년부 예배나 프로그램을 보면 과거에 하던 것을 답습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청소년은 달라지는데 교회는 안일한 태도를 고수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따라서 청소년들이 무엇에 관심을 갖고 무엇을 원하는지 적극적으로 파악하고 교회에서 자신의 고민과 관심사를 경험할 수 있도록 환경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