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기업과 개인사업자들의 영업이익 감소 폭이 외환위기 이후 21년 만에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은행의 국민계정 잠정통계에 따르면 비금융법인의 2019년도 영업잉여(영업이익)는 292조2천974억원으로 2018년(322조4천479억원)보다 9.35% 줄었다.

국민계정 소득주체로서 비금융법인에는 은행 등 금융사를 제외한 기업들과 간이과세 대상인 영세자영업자를 제외한 개인사업자들이 모두 포함된다. 변호사·의사 등 전문직 사업소득자의 영업이익도 더해지지만, 비중으로 보자면 비금융법인 영업이익의 대부분은 기업 몫이다.

2019년도의 전년대비 감소율(-9.35%)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11.57%) 이후 최고 수준이다.

비금융법인의 영업이익이 2년 연속(2018년 -2.71%·2019년 -9.35%) 뒷걸음질한 사례도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75년 이래 처음이다.

이런 기업 실적 부진은 한은이 지난 2일 발표한 '2019년 기업경영분석'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비금융영리법인 2만5천여개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1% 줄었고, 영업이익률(매출 대비 영업이익 비율)도 4.7%로 2.2%포인트 떨어졌다.

이처럼 기업과 개인사업자의 사정이 나빠지면서 2019년 피용자(고용된 근로자) 보수(896조9천888억원)의 전년 대비 증가율도 3.48%에 그쳤다.

이 같은 증가율은 2018년(5.32%)보다 1.84%포인트 낮을 뿐 아니라 역시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4.73%) 이후 가장 낮다.

다만 근로소득자의 보수 증가율(3.48%)이 비금융법인의 영업이익 증가율(-9.35%)을 크게 웃돌았기 때문에 노동소득분배율(65.5%)은 2018년보다 2%포인트 올랐다. 한은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53년 이후 최고 기록이다.

노동소득분배율이란 한 나라에서 한해 생산활동으로 발생한 소득 가운데 자본을 제외한 노동에 배분되는 몫을 가리킨다. 급여, 즉 피용자보수를 국민소득(NI·피용자보수와 영업잉여의 합계)으로 나눠 얻는다.

분자의 근로자 보수는 3% 정도라도 다소 늘었지만, 분모의 국민계정상 '영업잉여'(영업이익) 합계(비금융법인·금융법인·정부 등의 영업잉여)의 전년 대비 감소율(-6.9%)이 역대 최고 수준에 이르면서 근로자 몫을 뜻하는 노동소득분배율이 높아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