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제와 포용>, <광장에 선 기독교>, <인간의 번영> 등을 쓴 세계적인 신학자 미로슬라브 볼프 교수(Miroslav Volf, 예일대)가 방한해 '세상의 삶을 위하여, 차이를 만드는 신학(For the Life of the World: Theology that Makes Difference)'이라는 주제로 서울 새문안교회(담임 이상학 목사)에서 강연했다.
이번 강연은 '길을 잃은 세상, 길을 찾는 교회'라는 주제 아래 언더우드자매교회협의회 주최로 26-27일 이틀간 열린 제11회 언더우드 국제심포지엄에서 진행됐다.
'갱신: 세상, 하나님의 집(The Renewal: the World as God's Home)'을 제목으로 한 두 번째 강연에서는 자신의 최근 연구 주제인 '번영의 삶(flourishing life)'에 대한 신학적 진술을 펼쳤다.
미로슬라브 볼프 교수는 "신학의 목적은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 부활과 존귀, 영광스러운 재림에서 드러난 하나님의 자기계시에 비춰, 번영의 삶에 관한 비전들과 그곳으로 나아가는 길을 파악하고 자세히 표현하고 권하는 것"이라며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과 고난의 이야기 전체는 참으로 번영의 삶이 무엇인지 증언하고 있다"고 운을 뗐다.
볼프 교수는 "번영의 삶을 신학적 목적으로 삼아야 하는 이유는, 간단히 말해 기독교 신앙 전체가 번영의 삶, 다시 말해 좋은 삶(good lfie), 참된 삶(true life), 성경적 표현으로 '풍성한 삶(abundant life, 요 10:10) 또는 참된 생명(the life that really is life, 딤전 6:19)' 등에 관해 말하기 때문"이라며 "기독교 신학은 이러한 예들을 따라야 하고, 번영의 삶은 모든 신학자들이 노력해 기여하는 포괄적 목적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볼프 교수가 강연하고 있다. ⓒ이대웅 기자 |
그는 "모든 위대한 신학자들도 번영의 삶에 관한 기독교적 설명과 여러 형태로 읽을 수 있다. 이처럼 초창기 기독교 신학자들과 이후 여러 세기들에 걸친 위대한 추종자들 모두 '번영의 삶'의 신학자들이라 본다면, 지금 제안하는 방식은 도구적 이성의 지배와 사회적 다원주의, 좋은 삶에 관한 철저한 사유화 등 새로운 상황들로 인해 오늘날 새롭게 행해지는 방식"이라고 소개했다.
볼프 교수는 "신학의 목적이 번영의 삶'이라면, 기독교 신학자들의 두 가지 중요한 방식이 부적절했음을 암시하는 것"이라며 "첫째, 우리는 하나님을 위한 신학자들이지만, 기독교 신학은 하나님에 관한 것이어선 안 된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주로 하나님에 관해 다루지 않으시기 때문이다. 둘째, 기독교 신학은 우선 하나님과 세계와의 구속적 관계에 대한 것이어서도 안 된다. 그렇다고 구속이 필요불가결하며 신학 중심 주제가 아니라는 말은 분명 아니다"고 주장했다.
또 "하나님 나라는 오직 나라 즉 하나님으로부터 떨어진 세상도 아니고, 오직 하나님 즉 세상이 없는 하나님만도 아니라 둘 모두라는 것이 분명하다"며 "예수가 선포하시고 실행하신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과 세상 사이에 특별한 역동적 관계(dynamic relation)가 있는 나라이고, '하나님과 함께 있는 세상', '세계와 함께 있는 하나님'이다. 그러므로 기독교 신앙 또는 신학에서 번영의 삶에 관한 질문은 항상 하나님에 관한 질문이다"라고 했다.
그는 "반대로 하나님이 창조세계를 하나님의 집으로 완성하시기 위해 인간의 생명과 운명을 그리스도 안에서 취하셨기에, 하나님에 관한 질문은 항상 참으로 번영하는 삶에 관한 질문이다. 하나님 없는 번영의 삶을 상상한다면, 이는 거짓된 내재, 하나님 없는 터무니없는 창조세계를 끌어안는 자세"라며 "번영의 삶에 관한 이런 설명에 설득력이 있다면, 하나님 자신으로 볼 때나 피조물의 기원과 목표 차원에서도 신학의 주제는 하나님 자신이 아니다"고 말했다.
볼프 교수는 "오히려 신학의 주제는 창조주와 완성주로서 세상 안에 거하시는 하나님이시고 하나님의 창조세계이며 하나님의 집으로서의 세상"이라며 "그러므로 신학의 목적은 인간으로 하여금 하나님의 집이 인간 자신의 집임을 확인하고, 하나님의 집을 향해 여정을 가도록 돕는 데 있다. 이러한 여정의 주요한 측면은 억압과 죄로부터의 구속"이라고 했다.
이와 함께 "그러나 죄와 구속은 기독교 신앙의 부수적 주제이고, 창조와 완성과 별개로 설 수 없다. 죄와 구속은 근본적으로 선한 상태를 전제하기 때문이다. 죄와 악이 제거된 상태가 구속이기에, 이는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다"며 "신앙과 신학의 목적은 부정적 상태에 사로잡힌 사람들을 해방시켜 중립적 상태에 놓이도록 하고 그런 후 어디든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있도록 하는 게 아니고, 부정적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해 긍정적 상태에 놓이게 하는 것"이라고 했다.
미로슬라브 볼프 교수는 "기독교 신앙과 신학은 단순히 죄책으로부터의 자유와 이웃을 향한 사랑만이 아니라, 번영의 삶을 다룬다. 죄책으로부터의 자유와 이웃을 향한 사랑은 번영의 삶의 본질적 부분들일 뿐"이라며 "예수 그리스도는 자신의 인격과 삶, 사명을 통해 인간들 사이에서 하나님의 집을 구체화하고, 하나님의 집이 온전하고 보편적으로 실현될 것을 약속하셨다"고 설명했다.
볼프 교수는 "예수 그리스도는 인간의 육체를 집으로 삼아 거하시는 하나님이셨다. 그리고 성령에 의해 형성된 그리스도인과 기독교 공동체들의 삶은 그들이 그리스도의 사명에 참여하도록 그리스도께서 성령으로 행하시는 기름부음을 받는 삶의 연속"이라며 "그러므로 기독교 신학은 세상을 하나님의 집으로 만드시고자 하나님께서 오신다는 복음을 구현하고 확산하는 그리스도의 사명에 지속 기여하기 때문에, 기독교 신학의 목적은 모든 삶의 번영"이라고 정리했다.
그는 "그리스도가 '번영의 삶'의 가장 탁월한 모범이요 원형이라면, 번영의 삶이란 정확하게 1차적으로 '예수 그리스도가 가까이 왔다고 선언한 것', 바로 그 사명 전체가 목표로 향하고 있던 것과 동일하다"며 "이는 이스라엘 예언자들의 소망이 실현된 온전한 하나님 나라로, 각자의 번영이 모두의 번영을 돕고 모두의 번영이 각자의 번영이 된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의 집이 된 세상 안에서 궁극적인 형태의 번영된 삶"이라고 밝혔다.
2차적으로는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통치의 가까움을 선언하기 위해 자신의 사명을 수행하는 중 직접 실행하신 삶'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예수 그리스도는 선언한 삶을 자신의 삶 속에 그리고 사명을 이루기 위해 실행하셨다"며 "이러한 실행들은 하나님 나라가 전혀 아니던 세상에서, 그리고 로마에 의해 점령된 공간에서 일어난 사건들이다. 악의 권세들이 아주 정교하게 도처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함을 보여주는, 가장 가시적이고 구체적으로 드러난 예"라고 했다.
▲이날 열린 강연에는 많은 성도들이 참석했다. ⓒ이대웅 기자 |
볼프 교수는 "이처럼 그리스도께서 오셔서 사람들의 번영의 삶으로 부르셨기에, 기독교 신학은 번영의 삶을 다루고 그에 기여해야 한다"며 "모든 이들은 하나님의 집이 된 세상에서 온전히 번영하도록, 그리고 그곳으로 나아가는 여정에서 부분적으로 번영하도록 부름을 받는다. 애통하는 중에서 기뻐하고, 다른 이들의 필요들이 채워질 수 있도록 자진해 결핍을 받아들이며, 이 시대의 악들에 대항해 투쟁하면서 용기와 청렴의 삶을 이끌고, 이 모든 것에서 충만한 인간으로 성장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번영의 삶의 비전을 파악하고 자세히 표현하고 권하는 것을 신학의 주제와 목적으로 삼고 추구하며 설득력 있는 신학이 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세 가지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고 했다. 이는 첫째 그러한 비전이 실재에 관해 신학적으로 개연성 있고 대단히 중요한 해석과도 잘 맞는다는 점을 필히 보여줘야 하고, 둘째로 신학이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거대한 비신학적 지식에 비춰 그러한 비전이 개연성 있음을 보여줘야 하며, 셋째로 신학이 권하는 번영의 삶의 비전이 여러 다른 단계들과 삶의 여러 다른 조건들 하에서 어떻게 실행돼야 하는지 개괄적으로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미로슬라브 볼프 교수는 "번영의 삶의 비전을 자세히 표현하고 평가하며 권하는 신학은 기술적, 규범적, 도구적 형태의 신학 중 어느 것이든 최고를 요구하고, 여러 다양한 하위 분과 학문들의 모든 목소리들이 함께 협력하기를 요구한다"며 "우리에게 필요한 신학은 성경에 근거하고 교부학의 안내를 받으며 교회에 위치하고 공적으로 참여하는 신학이며, 그러면서도 번영의 삶에 관한 질문을 중점적으로 다룬 여러 학문들 및 인문학의 다양한 분과 학문들과 비판적으로 대화하는 신학"이라고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