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정애리
(Photo : for book 제공)
배우 정애리가 지금까지 SNS를 통해 전했던 글과 사진을 모아 책 「축복-그러나 다시 기적처럼 오는 것」을 펴냈다. 그는 “아무리 힘들어도 인내하고 견디니, 다시 기적처럼 오는 것이 있더라”고 말했다.

TV로 보는 세상은 참 아름답다. 어디에나 웃음이 있고, 화려하다 못해 눈이 부실 정도다. 배우 정애리(51)는 바로 그런 곳에서 35년을 살았다. 많은 이들의 시선을 한 몸에 받으며, 언제나 ‘아름답다’는 말을 듣고서. 하지만 그녀는 말한다.

“사실 연기자는 막노동꾼입니다. 화려한 모습을 하고 있을 때도 실은 늘 춥고, 배고프고, 잠이 부족해서 쩔쩔 매거든요 .…(중략)… 삶의 현장은 어디나 다 똑같지요. 어떻게 치장되어 있는가가 다를 뿐, 모두의 삶 안에는 기쁨과 아픔, 사랑과 미움, 고통 같은 것들이 공존하기 마련이니까요.”(「축복-그러나 다시 기적처럼 오는 것」 중에서)

정애리는 아름다운 배우다. 변하지 않는 아리따운 외모도 그렇지만 삶을 이해하는 그녀의 영혼이 그를 더 아름답게 한다. ‘봉사’는 지금에야 연예인들의 트렌드가 되었지만, 정애리의 그것은 벌써 20년이 넘었다. 아무도 모르게, 오직 한 분만 바라며 해 오던 섬김, 그래서 그 분은 그를 많은 이들에게 드러내셨지 모른다.

‘왜 연예인들은 그렇게도 스스로 목숨을 버릴까’ 고민했던 적이 있다. 그러면서 들었던 생각은, ‘언제나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살아야 하는 직업, 그래서 민감해진 가슴에 어두움도 쉽게 물드는 게 아닐까’라는 것. 하지만 반대로 그 가슴은 남들보다 더 많은 빛을 품을 수 있으니, 그 빛을 나눠주고 살면 언제나 밝게 살 수 있을 것도 같았다. 바로 정애리처럼.

「축복-그러나 다시 기적처럼 오는 것」
(Photo : for book 제공)
「축복-그러나 다시 기적처럼 오는 것」

그녀가 가슴을 다해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쓴 글, 그 글을 모아 「축복-그러나 다시 기적처럼 오는 것」(for book)을 펴냈다. 300여 페이지에 달하는 이 책에는 그녀가 매일 스마트폰으로 쓴 글과 또한 그것으로 찍은 사진들이 빼곡히 채워져, 누군가의 손길을 기다린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책이 그 무게 이상으로 무거운 건, 글과 사진이 없는 여백에 채워진 그녀의 ‘사랑’ 때문이다. 이 세상 어딘가, 자신이 혼자라고 느끼는 이들을 향한, 그 간절함을 담은…….

“참 힘든 시절인 듯합니다. 위로를 나누고 싶었습니다. 내가 가진 작지만 따뜻한 힘을 당신에게도 전하고 싶었어요. 그리고 당신이 가진 소소한 행복들로 나를 더 단단히 무장하고 싶었습니다. 그렇게 작은 소통이 삶을 한결 야무지게 만들어줄 거라고 생각하는 까닭입니다. 그래서 글의 끝자락에 ‘축복합니다. 아자아자, 파이팅!’이라는 순진무구해 보이는 주문을 붙여 놓곤 했습니다. 그러면 정말 힘이 나는 것 같았으니까요. …(중략)… 저의 수수한 이야기들이 무수한 씨앗을 퍼뜨려 당신의 가슴 속에서도 꽃으로 피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소박한 단편들을 묶어낸 제 마음이 한없이 행복할 것 같습니다.”(이 책 목록 ‘제 편지 받아보셨어요?’ 중에서)

생각보다 정애리의 신앙은 깊고 또 단단한 것 같았다. 적어도 그녀의 하나님은 시상식 수상 소감에 등장하는 정도에서 그치지는 않았다. 그녀의 남편 지승룡 민들레영토 대표이사에 따르면 정애리는 밤낮없이 이어지는 바쁜 촬영 스케줄 속에서도 눈물과 함께 무릎을 꿇을 줄 아는 사람이었다. “잠이 모자랄 텐데, 차라리 잠이라도 잤으면…” 지승룡 대표는 의아했지만 이제야 조금 깨닫는단다. “아, 그 기도가 끈이었구나. 그와 하나님, 그와 생명을 연결하는.”

배우 정애리
(Photo : for book 제공)
“참 힘든 시절인 듯합니다. 위로를 나누고 싶었습니다. 내가 가진 작지만 따뜻한 힘을 당신에게도 전하고 싶었어요.”

“크리스천이면 크리스천답게 살아야 한다는 생각

주머니를 틀어 쥐고만 있는 것은 사랑이 아니라는 생각
내 것이 다 나만의 것이라고 자신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
내 이름 빌려서 주신 것들을 열심히 나눠야 한다는 생각…….
덧없는 욕심으로 아까운 인생을 다 써 버리는 일 같은 것은 하지 말자는 소신을 품고 살지요. 이 모두가 하나님께서 제게 주신 선물입니다.”(이 책 목록 ‘저는 하나님의 딸입니다’ 중에서)

한 없는 위로 속에서 책장을 넘기다, 아련함으로 덮은 책, 그리고 다시 한 번 나를 부끄럽게 만드는 글귀…, “이 책의 저자 수익금 전액은 어려운 이웃을 위해 쓰입니다.” 하하. 그래요, 당신은 하나님의 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