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티모어 지역에서 다민족, 영어권 사역을 꿈꾸고 있는 김성철 목사. 최근 성경적인 목회 모델이라고 평가를 받고 있는 가정교회 시스템을 도입, 목장별로 활발한 전도활동을 벌이며 복음이 한인들 뿐 아니라 지역의 타민족에게도 전해지길 꿈꾸는 김 목사를 만나보았다.

16세 때 이민 온 이민 1.5세대 목사

목회자였던 아버지를 따라 고등학교 때 텍사스로 오게 된 김성철 목사는 어렸을 때부터 목회자가 될 꿈을 꾸었다고 한다. 루이빌, 엘에이, 워싱턴 디씨 등지에서 신학공부를 한 김목사는 80년부터 전도사생활을 포함, 오늘에 이르기 까지 28년 동안 목회를 해 온 셈이다.

볼티모어 중앙교회에 부임하게 되다

김 목사는 1996년 봄부터 2000년까지 볼티모어 중앙교회를 섬긴 적이 있다. 그 때는 담임목사가 아니라 행정, 부목사가 자신에게 맞다고 생각해 볼티모어 중앙교회를 사임하고 다른 길을 찾기도 했지만, 결국 하나님께서는 2005년, 김목사를 볼티모어 중앙교회로 다시 부르셨다.

"가정교회는 2006년 4월부터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가정교회 세미나를 통해 먼저 가정교회에 대해 충분히 익힌 뒤 미리 성도들이 가정교회를 익히고 낯설지 않도록 교육했습니다."

그는 그 이후부터 꾸준히 가정교회 목회자를 위한 컨퍼런스에 참석하면서 계속 가정교회에 대해 알아가고 배우는 중이다. 얼마 전에는 영어권을 위한 가정교회 세미나에도 참석했다.

"현재는 목장이 7개 입니다. 두 개는 영어권 목장이고 나머지 5개는 한어 목장이지요."

김목사는 '가정교회로 바꾼 뒤 과연 교회가 변화될 수 있을까?' '변화 된다면 어떤 변화가 올까?' 라는 기대감이 컸다고 한다. 물론 한인이 비교적 적은 지역에 교회가 위치해 성도들이 그다지 많은 편은 아니었지만, 정말 제대로 목회해서 교회가 부흥하길 바랐기 때문이다.

영혼구원에 대한 열정이 살아나다

가정교회의 목자는 일주일에 한 번씩 자기 집을 오픈해서 목원들에게 음식을 대접하고 그들을 섬겨야 한다. 또한 목회자와 똑같이 목원들을 위해 기도하고 그들을 매일 매일 챙겨야 한다. 바쁜 이민생활 가운데 이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게다가 30여 년 된 교회에서 갑자기 목회 스타일을 바꾼다는 것은 더더욱 쉬운 일이 아니었다.

"오랫동안 볼티모어 중앙교회를 섬겨 오신 나이 드신 장로님부터 청년들까지 제가 이끌어 가는 대로 순종하며 따라주시고 제게 힘을 주신 것이 참으로 감사합니다."

그리고 김목사는 힘들어만 할 것 같았던 성도들의 모습이 변하면서 기쁘게 가정교회 시스템을 따라오고 영혼구원에 대한 열정이 살아나는 모습을 볼 때 놀랍기만 하다고 전했다.

"가정교회 시스템으로 바꾼 후에 일어났던 가장 큰 변화는 성도들의 입에서 '하자분'(하나님의 자녀들이 될 분=전도 대상자를 지칭하는 언어)이라는 말이 많이 나오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영혼구원에 대한 열정이 생기기 시작했다는 말이죠. "

영어권, 라티노 목회를 통해 다민족 교회를 꿈꾼다

김목사가 개인적으로 관심을 두는 전도 대상은 다민족 언어권의 성도들이다.

"아직도 우리 교회의 한어권 성인 성도들은 영어 목회라 하면 중고등부 목회만을 생각하지만, 영어권 성도들의 연령층은 다양합니다. 개인적인 성장 과정(이민 1.5세대)이 반영되어서 그런 부분도 있지만, 한인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민족들을 전도하고 싶습니다."

아직은 시작하진 않았지만, 영어권의 타인종 이외에도 스패니쉬를 사용하는 라티노들을 대상으로 복음을 전할 계획도 있다. 스패니쉬가 가능한 영어권 성도를 키워 이들에게 다가갈 생각이다. 가정교회를 통한 다민족 목회는 가까운 시일에 그가 이룰 비전이자 꿈이다.

아직은 시행착오도 많고, 가정교회에 대한 신학적 질문들도 많지만 성경적 모델이라고 생각한다

김 목사는 아직 가정교회 시스템에 관해 공부해야 할 부분이 많고 지역적 특성, 자신의 목회 철학에 맞게 연구하고 적용해야 할 부분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가정교회가 믿지 않는 이들을 중심으로 전도하며, 성도들이 영혼구원에 새롭게 눈뜬 목자, 예수님의 제자의 삶을 살게 된다는 것입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머징 처치(Emerging Church), 하우스 처치(House Church, 김 목사가 시도하는 가정교회와는 조금은 다른 개념이다.)등 대안적 교회의 모델에 대한 관심이 많다. 교회는 더욱 대형화 되었지만 맛을 잃어버린 소금처럼 교회적 기능을 다 하지 못하고 오히려 많은 크리스천들이 불교나 이슬람교로 개종하는 모습들이 현재의 교회, 크리스천의 모습이다.

김목사는 목회란 무엇인가, 교회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계속 가져오면서 그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이러한 시도를 하는 것이고, 이것이 하나의 대안이 되길 소원한다고 전했다.

"목회 방식도 유행이 있습니다. 뭐가 유명하다, 무슨 프로그램이 좋다 하면 너도나도 하는 경향이 있지요. 저는 이 가정교회가 그러한 한 때의 유행이 되지 않길 원합니다. 꾸준히 나아가고 발전하는, 그래서 모범이 되는 모델이 되길 원합니다."

다민족 목회를 위해, 아직도 너무 많은 주변의 믿지 않는 영혼들에게 예수의 이름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는 김목사와 볼티모어 중앙교회 성도들의 새로운 도전이 아름다운 모델, 성공적인 도전이 되길 소망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