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인권정보센터가 '2013 북한인권백서 및 북한 종교자유백서'를 발간했다. 센터는 최근 '북한인권 실태와 종교자유 실태 현황' 세미나를 통해 이를 공개했다.
북한인권정보센터 북한인권기록보존소는 2007년부터 지난 7월까지 탈북민 8,575명을 대상으로 북한의 인권상황을 조사했다. 정재호 연구위원이 발표한 2013 북한 종교자유백서에 따르면, 전 세계가 다 아는 북한의 종교자유 현황은 이제 더 이상 '뉴스(news)'가 아니며, 조금이라도 상황이 나아진다면 그야말로 '톱 뉴스'가 될 전망이다.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은 북한 내 신도 수가 1만 2천명(2013년 기준)이라고 발표했으나, 실태조사에 응답한 탈북민 8,012명 중 7,985명(99.7%)은 "북한에 종교의 자유가 없다"고 답했다. 북한에서 종교활동을 하더라도 처벌받지 않는다고 응답한 이들은 27명(0.3%)에 불과했다.
종교박해 종류에 대해서는 총 1,034건 중 '종교활동'이 517건(50.0%), '종교물품 소지'가 246건(23.8%), '종교 전파'가 120건(11.6%), '종교인 접촉'이 51건(4.9%)을 각각 차지했다. 이를 분석하면, 북한의 종교박해는 여전하지만 비밀 종교활동은 일부에서 계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종교박해 장소는 '보위부 및 안전부'가 350건(33.8%), '정치범수용소'가 180건(17.4%), '교화소'가 105건(10.2%), '단련대와 집결소'가 38건(3.6%)이라고 각각 답했다. '미상'도 152건(14.7%)이나 돼, 즉결처형 또는 비공개처형 등에 대한 우려를 낳기도 했다. 종교박해 비율은 2000년대 들어 급격히 증가, 전체의 61.0%에 달했다. 1990년대가 24.2%였으며, 나머지는 3% 미만이었다. 종교박해 유형은 △조사 과정에서 심각한 인권침해 △정치범수용소 구금 등 엄중한 처벌 △교화소 수감 등 중형 구형 △공개처형 혹은 비밀처형 △체포 후 조사 과정에서 실종 △스파이 활용, 종교활동 색출 등이 있었다.
교회 뿐 아니라 성당(가톨릭)이나 사찰(불교) 등 종교시설에 합법적으로 가본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는 61명(0.7%)이었고, 응답자들 중 103명(1.3%)는 북한에서 비밀 종교활동에 참가한 경험이 있다고 했다. "북한에서 성경을 본 적이 있다"고 답한 탈북민은 평균 4.2%였다.
'종교의 자유'를 얻게 된 한국에서, 탈북민들은 전체의 70% 가까이가 종교를 갖고 있었다. 응답자 7,969명 중 기독교가 3,825명(48.0%)으로 거의 절반을 차지했으며, 천주교 845명(10.6%)와 불교 756명(9.5%)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그러나 천주교와 불교 신자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독교 비율은 낮아지고 있다.
센터측은 "북한에서는 사회주의 주체사상과 종교자유가 충돌하고 있고, 국제 관계나 정치·경제적 목적에 따라 종교정책이 변화하고 있다"며 "신앙인은 정치범수용소로 끌려가거나 반민족주의자 또는 반혁명주의자로 낙인찍히지만, 지하교회가 확산되고 '그루터기 신앙인'이 존재하고 있다는 점은 희망적"이라고 분석했다.
또 "최근 북한 당국은 중국에서 송환된 탈북민과 귀환자들이 종교에 노출되지 않았을까 염려하면서 엄격히 감시하고 있다"며 "이는 북한 당국이 현재까지도 종교를 체제위협의 중요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