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 한인장로교회 담임 김범기 목사
시애틀 한인장로교회 담임 김범기 목사

로드니 클랩이 쓴 "사람을 위한 영성"에서 몸을 가진 사람은 그 일생의 치열한 몸부림이 영성이라고 하면서 기도나 예배와 같은 신성한 영역뿐 아니라 식탁과 침실과 화장실과 운동장과 장례식 같은 일상의 영역에서도 찾을 수 있는 기독교 영성을 말합니다. 이래서 기독교 영성은 운동감각의 영성으로 근육이 기억한다고 합니다.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를 배우기 위해서도 체육과목처럼 영어단어 하나를 발음 하기 위해서 400개의 근육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머리로만 단어를 배우면 실제 상황에서는 좀처럼 사용할 수 없지만 반복하여 말하면 400개의 근육이 단어를 기억해낸다 고 합니다. 소문난 맛있는 식당은 음식에 들어가는 재료의 양을 정확히 재는 성능 좋은 저울이 있는 집이 아니라 타고난 손 맛 곧 몸이 기억하는 느낌을 가진 주방장이 있는 집 입니다. 피아니스트도 마찬가지입니다. 머리뿐 아니라 몸이 악보를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와같이 신앙도 몸으로 합니다. 우리는 몸을 통해 배 웁니다. 머리로 아는 만큼이 아니라 몸이 기억하는 만큼이 내 신앙일지도 모릅니다. 내 의지가 신앙을 배반하고 내 감정이 나를 속일 때, 깊은 아픔과 우울과 절망의 골짜기를 지날 때 나를 다시 일으켜 주는 것은 의지와 감정이 아니라 몸이 기억할 때가 많습니다. 반복적인 몸의 활동이 내 의식을 변화시키고 내 감정을 회복시키고 내 의지를 다시 불러 일으켜 줍니다. 이래서 신앙생활은 몸의 훈련입니다.

무슨 운동이든 코치가 처음 가르쳐 준 기본 자세는 늘 어색하고 불편합니다. 그리고 효과도 금방 나타나지 않아서 재미도 없습니다. 기존의 내 습관을 따르지 않기위해 동작 하나 하나마다 의식해야 하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많습니다. 사실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는 근육의 기억력 차이라고 합니다. 너무 힘들다. 꼭 그렇게까지 해야 되느냐? 몸의 아우성에 마음이 약해지면 안됩니다. 새벽기도를 지속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내 눈의 근육이 항상 새벽 4시에 감은 눈을 뜨도록 기억할 수 있게 해야합니다. 그러면 내 의지와 상관없이 아무리 몸이 피곤하고 마음이 아프고 영적으로 침체되었을 때라도 내 몸은 나를 새벽에 깨웁니다. 내 몸의 습관이 내 감정과 의지를 압도하기 때문입니다.

내 몸은 연약합니다. 그러나 정직합니다. 힘들면 힘들다고 하고 아프면 아프다고 합니다. 또 특별한 지시가 없으면 늘 기억하는 대로 움직여 줍니다. 몸이 스스로 기억하여 나를 예수님과 교제하는 삶으로 인도해야 합니다. 내가 알고 느끼는 정도가 아니라 내 몸이 기억하는 신앙의 수준이 진짜 내 신앙이라는 진실을 정직하게 인정할 때 우리는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영적인 일은 결코 저절로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잊지 않기를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