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및 유학 상담을 하면서 보면 상담 학생에 대하여 교사들이 추천서에 “인내심이 강하다”라고 쓴 것을 종종 읽을 때가 있습니다. 구체적인 예는 쓰여 있지가 않아서 교사들이 학생에게서 인내심을 관찰했다면 어떤 경우일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긴 수업시간 동안 동요하지 않고 불평하지 않고 공부를 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을까, 아니면 체육 시간이 끝나고 다음 수업 시간에 다들 더워서 부채질을 하고 있는데, 참으며 선생님의 수업 내용에 주목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 주었을까.
요즈음 세상은 도대체 인내라는 것을 배울 틈을 주지 않는 세상인 것 같습니다. 나무를 구해다 불을 때서 음식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필자도 그런 시대엔 살아 보지 못해서 별로 할 말은 없지만 말입니다.) 전자 렌지에 넣고 버튼만 누르면 됩니다. 인스턴트 시대, 스피드 시대에 길들여진 요즘 세대는 조급증에 걸린 것 같습니다. 편지를 보내 놓고 몇 일 몇 달을 답장을 기다리는 낭만(?)은 이메일로 인하여 과거 일이 된지 오래입니다. 어려서부터 텔레비전, 컴퓨터, 게임에 노출된 아이들은 도무지 조금만 지루해도, 잠시의 공백 기간이 있어도 기다려 주지 않습니다. 부모나 교사들이 모두 산만하고, 주위 집중이 결핍된 아이들이 늘어가고 있다고 이구동성으로 말합니다. 아이들에게 세상 모든 일이 컴퓨터 게임처럼 클릭 하면 그 즉시 결과가 나오는 것이 아니고 참고 기다려야 할 때가 많다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 점점 힘들어 집니다.
인내란 참는 것입니다. 외적인 환경의 변화나 어려움에 상관없이 동요 되지 않는 어떤 내적 평온의 능력이 인내입니다. 인내가 기다림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저 수동적으로 기다리기만 하는 것은 게으름입니다. 인내는 오히려 능동적인 행동입니다. 참음 뒤에 있을 결과를 소망하며 계속 노력하는 적극적인 행동입니다. 발명왕 토마스 에디슨은 전구를 발명하기까지 2000번의 실패를 겪었다고 합니다. 1999번 째 이젠 더 이상 못하겠다고 포기했다면 어땠을까요. 우리의 인생도 그러하리라고 생각합니다. 좀 더 참았으면 더 낳은 결과가 있었을 어떤 포기의 순간은 없었습니까?
그럼 우리 자녀들에게 인내라는 성품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까요. 성품은 반복된 습관과 교육에 의해서 형성됩니다. 일상 생활에서 인내라는 개념을 이해시킬 수 있는 모든 기회를 포착해야 합니다. 가령, 식탁에서 밥을 먹으면서 자연스럽게 농부의 인내를 이야기 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어린 자녀들과 함께 퍼즐 맞추기 게임이나 레고 만들기를 자주 하며 놀아 주는 것도 좋습니다. 요즘 아이들은 퍼즐을 조금 맞춰 보다가 안 되면 금방 ‘못 해’, ’재미 없어’ 하며 포기해버리고 맙니다. 아빠나 엄마가 이런 게임을 재미있게 놀아 주고 다 만들고 났을 때의 그 성취감을 함께 기뻐하며 칭찬해 주거나 적절한 상을 주면, 아이들이 힘든 일 끝의 결과에 대해서 기대하는 마음이 생겨납니다. 가족들이 함께 등산을 하는 것도 좋겠지요. 아이들이 힘들어 하거나 지쳐 한다고 금방 안쓰러워 하며 안아 주거나 중도 포기하지 말고 힘든 과정을 이길 수 있도록 재미있는 말을 하거나 노래를 하거나 해서 정상에 도달했을 때의 기쁨을 만끽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미국 생활을 하며 여러 가지 미국의 다른 문화를 배웠지만 매우 기억에 남는 것 중에 하나는 미국 사람들의 ‘여유’입니다. 아이들이 어렸을 때 놀이 동산에 갔는데 무슨 놀이 기구 하나를 타려면 줄이 너무 길어서 어떤 것은 30분도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초조하거나, 지루해 하거나, 불평하거나, 조급해 하는 기색은 전혀 없이 오히려 그 줄 서서 기다리는 시간을 즐기며 앞 뒤에 줄 서 있는 처음 보는 사람들과 농담을 건네며 즐기는 사람들을 보며 참 색다른 느낌을 받았던 것을 기억합니다. 인생 가운데 이런 기다림의 시간은 불가피 합니다. 어차피 겪어야 하는 고통의 시간이라면 그 시간이 고통이 되지 아니하도록 마음과 생각을 바꾸어서 그 기간이 허비되지 않고 오히려 내가 성장하고 새로워 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면 오히려 가치 있는 기간이 될 수 있습니다.
고진감래라는 고사 성어가 있습니다. 문자 그대로 풀이 하면 쓴 것이 지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입니다. 프랑스의 철학자 장자끄 루소의 “인내는 쓰다, 그러나 그 열매는 달다”라는 명언과 일맥 상통하는, 인내의 유익을 말해 주는 속담입니다. 우리 자녀들에게 그들이 인생에서 누구나 겪게 될 고통과 기다림의 시간을 잘 인내해서 단 열매를 수확할 수 있는 축복이 있기를 소망합니다.
<문의> 엔젤라 유학/교육 컨설팅, <미국 유학 성공 비결> 저자 엔젤라 김,
www.angelaconsulting.com, (미국)301-320-9791, Email: angelagroup@gmail.com
요즈음 세상은 도대체 인내라는 것을 배울 틈을 주지 않는 세상인 것 같습니다. 나무를 구해다 불을 때서 음식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필자도 그런 시대엔 살아 보지 못해서 별로 할 말은 없지만 말입니다.) 전자 렌지에 넣고 버튼만 누르면 됩니다. 인스턴트 시대, 스피드 시대에 길들여진 요즘 세대는 조급증에 걸린 것 같습니다. 편지를 보내 놓고 몇 일 몇 달을 답장을 기다리는 낭만(?)은 이메일로 인하여 과거 일이 된지 오래입니다. 어려서부터 텔레비전, 컴퓨터, 게임에 노출된 아이들은 도무지 조금만 지루해도, 잠시의 공백 기간이 있어도 기다려 주지 않습니다. 부모나 교사들이 모두 산만하고, 주위 집중이 결핍된 아이들이 늘어가고 있다고 이구동성으로 말합니다. 아이들에게 세상 모든 일이 컴퓨터 게임처럼 클릭 하면 그 즉시 결과가 나오는 것이 아니고 참고 기다려야 할 때가 많다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 점점 힘들어 집니다.
인내란 참는 것입니다. 외적인 환경의 변화나 어려움에 상관없이 동요 되지 않는 어떤 내적 평온의 능력이 인내입니다. 인내가 기다림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저 수동적으로 기다리기만 하는 것은 게으름입니다. 인내는 오히려 능동적인 행동입니다. 참음 뒤에 있을 결과를 소망하며 계속 노력하는 적극적인 행동입니다. 발명왕 토마스 에디슨은 전구를 발명하기까지 2000번의 실패를 겪었다고 합니다. 1999번 째 이젠 더 이상 못하겠다고 포기했다면 어땠을까요. 우리의 인생도 그러하리라고 생각합니다. 좀 더 참았으면 더 낳은 결과가 있었을 어떤 포기의 순간은 없었습니까?
그럼 우리 자녀들에게 인내라는 성품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까요. 성품은 반복된 습관과 교육에 의해서 형성됩니다. 일상 생활에서 인내라는 개념을 이해시킬 수 있는 모든 기회를 포착해야 합니다. 가령, 식탁에서 밥을 먹으면서 자연스럽게 농부의 인내를 이야기 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어린 자녀들과 함께 퍼즐 맞추기 게임이나 레고 만들기를 자주 하며 놀아 주는 것도 좋습니다. 요즘 아이들은 퍼즐을 조금 맞춰 보다가 안 되면 금방 ‘못 해’, ’재미 없어’ 하며 포기해버리고 맙니다. 아빠나 엄마가 이런 게임을 재미있게 놀아 주고 다 만들고 났을 때의 그 성취감을 함께 기뻐하며 칭찬해 주거나 적절한 상을 주면, 아이들이 힘든 일 끝의 결과에 대해서 기대하는 마음이 생겨납니다. 가족들이 함께 등산을 하는 것도 좋겠지요. 아이들이 힘들어 하거나 지쳐 한다고 금방 안쓰러워 하며 안아 주거나 중도 포기하지 말고 힘든 과정을 이길 수 있도록 재미있는 말을 하거나 노래를 하거나 해서 정상에 도달했을 때의 기쁨을 만끽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미국 생활을 하며 여러 가지 미국의 다른 문화를 배웠지만 매우 기억에 남는 것 중에 하나는 미국 사람들의 ‘여유’입니다. 아이들이 어렸을 때 놀이 동산에 갔는데 무슨 놀이 기구 하나를 타려면 줄이 너무 길어서 어떤 것은 30분도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초조하거나, 지루해 하거나, 불평하거나, 조급해 하는 기색은 전혀 없이 오히려 그 줄 서서 기다리는 시간을 즐기며 앞 뒤에 줄 서 있는 처음 보는 사람들과 농담을 건네며 즐기는 사람들을 보며 참 색다른 느낌을 받았던 것을 기억합니다. 인생 가운데 이런 기다림의 시간은 불가피 합니다. 어차피 겪어야 하는 고통의 시간이라면 그 시간이 고통이 되지 아니하도록 마음과 생각을 바꾸어서 그 기간이 허비되지 않고 오히려 내가 성장하고 새로워 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면 오히려 가치 있는 기간이 될 수 있습니다.
고진감래라는 고사 성어가 있습니다. 문자 그대로 풀이 하면 쓴 것이 지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입니다. 프랑스의 철학자 장자끄 루소의 “인내는 쓰다, 그러나 그 열매는 달다”라는 명언과 일맥 상통하는, 인내의 유익을 말해 주는 속담입니다. 우리 자녀들에게 그들이 인생에서 누구나 겪게 될 고통과 기다림의 시간을 잘 인내해서 단 열매를 수확할 수 있는 축복이 있기를 소망합니다.
<문의> 엔젤라 유학/교육 컨설팅, <미국 유학 성공 비결> 저자 엔젤라 김,
www.angelaconsulting.com, (미국)301-320-9791, Email: angelagroup@gmail.com
© 2020 Christianitydaily.com All rights reserved. Do not reproduce without per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