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주 훼드럴웨이 지역에서 청소년 사역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훼드럴웨이 제일장로교회 최병걸 목사를 만나 EM영어권 사역에 대해 들어봤다. 교회는 최근 늘어나는 EM, 한어권 청소년과 청년들을 위해 교회 본당 옆 부지에 교육관을 건축할 예정이며 2세 청소년, 청년 사역에 충분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최 목사는 청소년, 청년 사역을 위해 한인 교회의 연합 사역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그는 "개 교회가 독자적으로 할 수 있는 사역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2세 한인 청소년을 위해 공동 사명을 가지고, 시애틀 지역에 맞는 사역 모델을 찾아 그들을 일으켜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본지는 한어권 청소년, 청년 사역에 이어 EM 영어권 사역에 대한 최 목사와의 대담을 게재한다. 이하는 일문 일답.
-미주 한인 교회 내 EM 사역은 어떻게 진행되는 것이 맞는가?
영어권 사역의 핵심은 다양성에 있다. EM 사역에서 다양성을 놓쳐버리면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다. EM 사역은 한인 2세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지만 한인 2세들로 구성된 영어권 사역은 오래 지탱할 수 없다고 본다. 우리 2세들 역시 다문화, 다인종으로 구성된 미국에서 살아갈 세대이기 때문에 다민족이 모일 수 있는 비전을 가지고 영어권 사역을 이끌어야 한다.
- EM 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영어권 사역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을 꼽으라면 역시 사람이다. 그들을 돌볼 사역자를 말한다. 이들을 향한 목회와 양육의 비전이 더욱 분명한 사람이 필요하다. 그들 역시 목회적 돌봄과 치유가 필요하기 때문에 사역자는 목회적 사명과 십자가에 대한 깊이 있는 묵상과 희생적인 사랑이 있어야 한다.
많은 교회의 EM 사역이 제자리 걸음을 한다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그러나 사역자가 자기 사역과 예배에 목숨을 걸면 눈으로 보이는 확장이나 예배인원의 숫자를 넘어서서 예배가 주는 기쁨과 감동이 있기 마련이다.
사역자가 "한 영혼을 얼마나 하나님의 마음을 가지고 대하는가", "예배를 얼마나 소중히 여기는가" 이런 고민과 씨름하며 사역에 임하면 영어권, 다민족 성도들도 어렵지 않게 하나님의 임재를 사모하게 되고 예배 시간을 기다리게 된다.
- 예배 이외에 EM 사역의 활성화를 위해 어떤 활동이 필요한가?
한어권 청년들은 예배 이외에 셀그룹 활동을 많이 한다. 또한 한어권 예배나 행사를 섬기고 선교지를 방문하는 등 교회 내 섬김과 선교에 집중하고 있다. 영어권은 실제적으로 커뮤니티를 섬기고 구제하는 사역을 맡기고 있다. 커뮤니티에 더욱 깊이 들어가 함께 마음을 나누며 그들의 아픔을 함께 보듬어주고 상처를 치유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훼드럴웨이 제일장로교회의 경우 커뮤니티에 구제사역을 EM에서 하고, 성탄절에 선물 나누는 사역이나 추수감사절에 터키를 함께 나눠주는 사역을 감당하고 있다. 또 매월 둘째, 넷째 주 노숙자 사역을 하고 있다.
-한인 교회 내 EM 사역의 어려움이 있다면 어떤 부분인가?
미주 한인 교회와 함께 사역하는 EM이라면 누구나 소통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소통의 어려움이란 언어의 장벽이 아니라 문화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대개 한인 1세 교회 목회자나 성도들의 신앙과 믿음은 순종과 겸손을 바탕에 두지만 2세 사역자들이나 EM 성도들은 자신이 이해한 믿음과 신앙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다. 토론과 설득의 문화 가운데 성장한 사람들이라 자신의 이해를 매우 중요시 한다.
어떤 사역을 할 때도 마찬가지다 영어권 사역 목회자나 성도들은 사역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 되지 않으면 좀처럼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 한어권에서는 이런 모습을 보면 "일단 시작하면 될 텐데"와 같이 좀 답답한 마음이 들기도 한다. 문화적 거리가 있다 보니 소통과 협력을 위해 서로에 대한 이해가 절실히 필요하다.
- EM 영어권 사역자나 성도들을 대하는 한어권 교회의 모습은 어떠해야 하는가?
기다려주는 인내가 필요하다. 특히 EM 사역자의 경우 최소 5년 정도의 기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대개 EM 사역자들의 한인 교회 내 재임 기간이 매우 짧다. 이유는 한어권 목회자들이 그들이 성장하길 기다려 줄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EM 사역자들은 제대로 된 훈련이나 양육을 받아 본 경험이 부족하다. 나름대로 훈련을 받았다고 생각하지만 목회 현장에서 일어나는 굉장히 다양한 일들에 대한 대처가 많은 부분 부족하다.
독립적 사역을 위해 많은 부분 스스로 사역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지만 당회를 어떻게 운영하는지 혹은 제자 훈련은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도 많다. 그들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고 교육하기 위해 팔을 걷어부친 한어권 목회자들이 그들과 관계가 틀어진 경우를 보게 된다. 교육과 훈련을 시키되 사랑과 인내를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영어권 사역자나 성도들이 한어권 사역자나 성도들의 인품과 신앙을 보게 되고 그들의 믿음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되면 물,불을 가리지 않게 된다. 이해하고 받아들이는데 한어권처럼 빠르지 않지만 분명 바뀌고 뛰어난 부분이 많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특히 영어권 사역자가 성도들이 어려움이나 해결하기 힘든 문제를 한어권 목회자나 성도들에게 가져올 때 인내와 사랑이 필요하다. 해결법을 제시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 그들이 해 보도록 안내해주는 역할이 필요하다.
-미주 한인 교회 내 한어권과 영어권 교회의 연합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
정체성을 갖는 것이다. 이미 하나님을 만나고 예수님을 구주로 고백한 크리스천이 한국인이냐 미국인이냐 하는 정체성의 문제로 시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다. 한어권에서는 "너희들은 한국인이다"라는 정체성을 심어주기 이전에 "우리는 크리스천이다"라는 정체성을 심어야 한다.
국적을 따지기 이전에 먼저는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으로 하나되어야 한다. 이것이 그들이 미국에서 뿌리내리고 건강하게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살아가는 길이다. 하나님의 뜻은 한국 사람이 미국에 와서 사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사람으로 복음의 가치를 가지고 이 땅을 변화시키는데 있다고 본다.
연합을 위해서는 교회 모든 구성원들이 그리스도인이라는 하나된 정체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