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태 박사
김형태 박사

이스라엘의 영농 절기는 오순절, 칠칠절, 초막절이다. 추수감사는 초막절 행사였다. 이제 '감사'에 대해 생각해 보자.

"사람을 생긴 그대로 사랑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평화(샬롬)는 상대방이 내 뜻대로 되어지길 바라는 마음을 그만둘 때이며
행복은 그러한 마음이 위로받을 때이며
기쁨은 비워진 두 마음이 부딪힐 때이다"
(있는 그대로 사랑하기/황대권).

오늘만큼은 행복한 세상을 볼 수 있는 하루를 즐기는 것이다. 괴테는 「경고」란 시를 지었다.

"어디까지 방황하며 멀리 가려느냐? 보아라, 좋은 것은 여기 아주 가까이 있다. 행복을 잡는 방법을 알아 두어라,
행복이란 언제나 네 곁에 있다. 감사는 감사할 자격이 있어야 하고 감사할 축복을 받아야 할수 있는 것이다. 그만큼 주관적인 것이고, 선택적인 것이다. 외적 조건에 의하지 않는다.
돈이 감사의 조건이라면 이 세상에서 최고 부자 한 사람만 감사할 수 있을 것이다. '생명'이 감사의 조건이어야 한다.
'행복, 성공, 사람'- 우리 인생에서 최고의 가치 덕목으로 여겨지는 이런 단어들도 모두 '생명'(살아있음)이라는 단어 앞에서는 한낱 군더더기나 부스러기에 불과하다.
'살아 있음'의 축복을 생각하면, 우리 자신이 한없이 착해지면서 이 세상의 모든 사람과 모든 것을 포용하고, 사랑하고 싶은 마음에 가슴이 벅차 올 것이다."

오랫동안 누워만 있어야 됐던 사람이 일어나 땅을 딛고 설 수 있음이 얼마나 고마운지!
직립인간(直立人間)으로서 똑바로 서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이 얼마나 소중한지!
누워서 보는 하늘이 아니라 서서 보는 하늘이 얼마나 더 화려한지!
목을 나긋나긋하게 돌리며 내가 보고 싶은 사람을 볼 수 있음이 얼마나 신기한지!
온몸의 뼈가 울리는 지독한 통증 없이 재채기 한 번을 시원하게 할 수 있음이 얼마나 큰 축복인지!

유방암을 치료하고 난 후 다시 척추(경추 3번)로 전이돼 척추암을 앓느라 병원에 입원했다가 쓴 소감문이다. 주인공은 서강대 영문과 장영희 교수의 경우다.

보통 사람들은 아무런 고통이나 감격 없이 매일 일상적으로 누리고 있는 일들이 어떤 이에게는 평생 소원이요 기도 제목이 되고 있다. '한 번만 걸어봤으면, 볼 수만 있다면, 들을 수만 있다면, 말할 수만 있다면, 먹을 수만 있다면, 살아 있기만 한다면...' 이란 기도를 하고 있는 사람들을 생각해 보자.

우리가 환란 중에 서 있으면 한없이 낮아지고, 한없이 단순해진다(simple). 기도가 절실할수록 길이가 짧아진다. 어떤 때는 '단 한 마디'로 축약된다. 그만큼 집중돼 있고 간절한 것이다.

비교하거나 구실(핑계)을 찾으면 감사할 수 없다. 10명의 나병 환자가 나음을 입었지만 찾아와 감사한 사람은 오직 사마리아인 한 명뿐이었다(눅 17:11-19).

10%만이 감사의 특권과 축복을 누리는 것이다. 나머지 9명은 왜 감사하지 못했는가? 그들의 이유를 상상해 보자.

①정말 나았는지. 먼저 확인해 봐야지
②지금은 나았으나 앞으로 재발할지도 몰라
③예수님께는 나중에 감사드려도 되겠지?
④이제 보니 내 병은 나병이 아니었던 것 같아
⑤다 나은 것이 아닐 거야, 일부분만 나은 것일지도 몰라
⑥제사장에게 먼저 보이는 것이 급선무야!
⑦아마 내 병이 지금 낫고 있는 중일 거야!
⑧다른 랍비들도 이런 일쯤은 할 수 있을거야!
⑨그 분이 나를 위해 수고해준 것은 사실 아무것도 없잖아!
(작가 장영일 씨가 쓴 글 중에서)

그렇다. 감사하려고 마음먹으면, 수백 가지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반대로 불평불만 하려 들면 그 또한 얼마든지 이유와 핑계를 댈 수 있다. 어느 쪽으로 방향을 잡느냐가 중요하다.

1만 달란트 탕감 받은 자가 100데나리온 채무자를 용서하지 못하고 '내로남불'하는 자가 얼마든지 있다. '장미꽃은 안 보고 가시만 보는가, 가시는 안 보고 장미꽃을 보는가?' 하는 선택에 따라 같은 환경 속에서도 감사와 불만으로 갈라선다.

김형태 박사(한국교육자선교회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