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한 해 강제 출국을 제외한 중도 탈락 및 포기 선교사는 한국 선교사(2만 467명) 중 1.5%(304명)를 차지했으며, 비자발적으로 철수한 강제 출국한 선교사는 1.3%(267명)로 나타났다. 또 강제 출국한 선교사는 지난 3년 동안 총 599명으로 집계됐다.

한국선교연구원(KRIM, 원장 문상철 박사)은 1일 남서울교회 교육관에서 창립 25주년 감사예배 및 한국선교현황 보고회를 통해 이같이 발표하고, 선교사 중도 탈락의 원인과 멤버케어의 중요성 등을 강조했다. KRIM은 작년 11월 14일부터 지난 1월 16일까지 교단선교부, 초교파단체 및 지원단체 등 총 162곳을 대상으로 이메일, 전화, 팩스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발표했다.

문상철 원장은 '한국 선교 2015: 선교지를 떠나야 했던 선교사들'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선교사 중도탈락 및 포기의 주요 원인은 전반적인 한국교회의 쇠퇴에 따른 후원 기반의 약화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선교사 중도탈락 및 포기는 자발적 철수나 파송 선교단체, 교회가 소환하는 등 다양한 이유로 예정된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귀국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하며, 비자발적 철수는 선교대상국이 사역을 거부(강제 출국, 비자 갱신 거부, 재입국 거부 등)하거나 선교를 지속할 수 없는 경우(전염병, 사회적 불안 등)를 포함한다.


또 타문화권에서 15~20년간 사역했으나 비자 갱신 또는 재입국 거부로 추방된 7명의 선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한 결과 "선교사들의 추방 전후의 심리적 경험은 선교 대상국에서 선교사라는 신분이 노출될 것에 대한 염려와 연관된 긴장과 불안으로 대표된다"며 "선교사들은 추방 당시 거리감과 원망, 지역 교인들과의 이별로 인한 슬픔, 선교지를 잃은 박탈감을 경험했고 사역의 열매를 충분히 맺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도 많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선교사가 비자발적으로 출국하는 원인도 한국 선교계 주요 이슈"라며 "다양한 원인으로 강제 철수한 선교사는 2012년 117명(전체 선교사의 0.6%), 2013년 215명(1.1%), 2014년 267명(1.3%)으로 꾸준히 증가했다"고 밝혔다. 강제 철수한 선교사들은 대부분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새로운 선교지를 향해 떠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그는 "긴급 철수 후 한국으로 돌아온 선교사들은 주거 정착의 어려움과 한국 문화에 대한 재적응과 같은 실질적인 문제를 경험했다"며 "이들이 긴급 철수 경험을 통해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게 되는 과정에서 교회의 도움으로 하나님의 위로를 경험하는 등 믿음의 공동체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선교사 부모의 긴급 철수는 선교사 자녀(MK)에게도 큰 충격으로 다가온다. 문 원장은 "MK는 선교지를 떠나며 친구, 이웃, 그리고 익숙한 모든 것을 잃어야 했기 때문에 뿌리가 뽑히고 집을 잃는 것과 같은 경험을 한다"며 "갑자기 사역을 잃는 위기를 겪은 부모들로서는 자녀들의 문제를 제대로 돌볼 수 없어 선교단체들은 MK들을 지원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을 배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선교를 중단해야 하는 선교사를 위한 멤버케어는 사후대책뿐 아니라 예방 차원에서도 필요하다는 제안도 나왔다. 문상철 원장은 "이러한 상황에 놓인 선교사들을 위한 스트레스 관리 교육, 다음 사역을 시작하기 전 회복을 위한 정책과 규정이 필요하며, 선교단체는 추방된 선교사를 위한 디브리핑과 위기 디브리핑 전문가 영입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트라우마를 경험한 선교사는 5~6개월 이내 개인적으로 애도 상담(grief counseling)을 받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디브리핑 담당자와 상담자들은 선교사가 선교지뿐 아니라 집을 잃는 경험으로 인한 상실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KRIM은 2014년 말 현재 162개 선교단체에서 파송된 2만 467명의 한국 선교사가 163개국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이는 2013년 말에 비해 1.9% 증가한 수라고 밝혔다. 전체 선교사 중 10,779명은 초교파 선교단체, 9,306명은 교단 소속 단체, 나머지 382명은 지원 단체 소속이었으며, 전체 선교사의 50.6%가 활동하는 10대 파송국은 중국, 미국, 인도, 일본,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터키, 캄보디아, 러시아 순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접근지역인 47개국에서 활동하는 한국선교사는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46.9%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