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태 박사
김형태 박사 

집안이 잘 되려면 며느리가 잘 들어오고, 나라가 잘 되려면 공직자가 훌륭해야 한다. 요즘 계급제도로 보면 해군 대위쯤 되는 계급에서 해군 소장쯤으로 파격적인 진급을 하고 현지에 내려간 이순신 제독은 당시 경상 좌수사 박홍과 경상우수영 원균, 그리고 전라 우수사 이억기 등이 있었다.

전라 좌수영 절도사로 부임했으니 옛날이나 지금이나 군대조직에서 파격적인 계급장을 달고 내려온 이순신 제독을 보고, 이들이 가만히 있을 리가 없었다.

1597년(정유년) 2월 원균의 모함으로 이순신은 '한산 통제영'에서 체포되어 한양으로 압송되어 '국형장'이 열렸다. 선조 임금이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문무백관(200명) 모두가 '이순신은 역적이오니 죽여야 하옵니다' 하고 아침부터 다음날 새벽까지 일제히 아뢰고 있었다.

선조 임금도 속으로 동조하고 있는 상황이라, 이순신을 발탁해주었고 6계급이나 파격적 진급을 시키는데 크게 힘써준 유성룡까지도 '公은 公 私는 私'라고 하며 이순신을 죽여야 한다는 문무백관들의 집단적인 여론에 맞서기가 어려웠으니, 당시 이순신의 역적누명 상황이 어떠했는가를 넉넉히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왜 이틀이 지나도 이순신의 형 집행을 못 하고 있었을까? 당시에 영의정 겸 도체찰사(국가비상사태 직무 총사령관(계엄사령관))인 오리 이원익(梧里 李元翼)이 선조 임금의 어명으로 임진왜란의 전시 상황에서 모든 권한을 쥐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무리 임금과 문무백관들이 '이순신을 죽여야 한다'고 외쳐도 전시 상태에서는 도체찰사인 이원익의 승낙 없이는 선조 임금도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원익은 거듭되는 선조임금의 형 집행 재촉에 대해 그 유명한 명언을 남겼다. "전하께서 전시 중에 신(臣)을 폐하지 못하시는 것처럼, 신(臣) 또한 전쟁 중에 '삼도수군통제사'인 이순신을 해임할 수 없습니다."

이원익의 이런 주장에 선조 임금도 체념을 했다. 이틀이나 걸린 이순신 국형장에서 문무백관들이 다 지켜보았어도 '도체찰사가 이렇게 말을 하니 이순신이 죄가 없는가 보구나'라며 뜻을 바꾸었고, 이순신은 가까스로 사형을 면하게 되었다.

자, 당시 문무백관 199명을 상대해 이원익 한 사람이 이순신 제독을 살려낸 것이다.

"안민(安民)이 첫째이고 나머지는 군더더기일 뿐", "자신을 낮추고 오직 나라와 백성만 떠받드는 공복", "그가 있으면 온갖 사물이 제자리를 잡게 되는 소박한 그러나 비범한 조선의 대표적 청백리", "초가집 명재상 오리 이원익 대감".

세월이 400년이나 지났지만, 시대만 바뀌었을 뿐 정치권의 행태는 변함이 없다. 아무리 힘들더라도 마음을 알아주는 딱 한 사람만 있으면 외롭지 않은 것이 본래 사대부 대장부들의 기질이다.

그것은 목숨이 왔다 갔다 하는 전쟁통에는 더 말할 것이 없는 것이다. 그래도 이순신 제독은 행복한 사람이었다. 조선 500년의 상징적 청백리 오리 이원익 대감 같은 분을 만났으니 말이다.

오늘의 대한민국 정치계에는 어째서 오리 이원익 같은 청백리 대감이 없단 말인가?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고 후대에 두고두고 기념이 되는 양심적 대감 한 사람을 어찌 볼 수 없단 말인가?

철학과 신앙이 없는 자는 모든 관심이 죽기 이전까지로 제한된다. 영원을 사모하거나 죽은 뒤의 비석을 보지 않고 당장의 문패와 명패만 보기 때문이다.

지금, 여기서 나만 좋으면 되는 것이다. 죽은 뒤에 오명을 쓰거나 매국노가 되거나 악한 자로 비난받는 것을 개의치 않는다. 순간 만족을 추구하는 하루살이 인생이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들은 18세에 순국한 유관순 열사나 31세에 순국한 이봉창 의사나 32세에 목숨을 바친 안중근 의사를 따라갈 수 없다. 당장의 이익이 보이면 물, 불을 가리지 않는다. 의리, 약속, 정의, 진실, 대의명분이나 명예 같은 것은 아예 안중에도 없다.

내로남불의 사기꾼이 되기도 한다. 스스로 내건 약속(公約)도 얼마든지 어겨 공약(公約)으로 만들어 버린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할 때 위성 정당을 만들지 않겠다는 약속을 깼고, 서울과 부산시장 보궐선거에 후보를 내기 위해 스스로 만든 당헌도 개정했다 하겠다고 해놓고 안 하고, 안 하겠다고 한 후에 한다.

그들의 말은 말이 아니다. 무신불립(無信不立), 심은 대로 거두는(種豆得豆) 진리를 증명하는 것은 이제 우리 유권자의 몫이 되었다.

김형태 박사(한남대학교 14-15대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