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돈 교수.
(Photo : 거룩한빛광성교회 홈페이지 영상 캡쳐) 조성돈 교수.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가 11일 인천시 남동구 사랑교회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국교회의 생존’이라는 주제로 신학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조성돈 교수(실천신대 종교사회학)가 ‘한국교회의 갈 방향’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조 교수는 “이렇게 뉴노멀의 놀라운 변화를 이끌어 온 코로나19의 재앙에 대해 우리 기독교인들은 어떤 이해를 가져야 하는가”라며 “적지 않은 사람들이 이를 하나님의 심판으로 이해를 했다. 초기에는 기독교를 박해하던 중국에 대한 심판이라고 하는 이들이 많았다. 그런데 이게 한국으로 옮겨오니 동성애에 대한 이야기도 흘러 나왔다. 물론 정권 관련된 이야기도 섞여 있었다. 그리고 이것이 세계로 옮겨 나가고, 특히 기독교 문화권인 선진국이 중심이 되면서 사그라들었다. 정말 이 코로나19는 하나님의 심판이며 죄 많은 이 세상에 대해 하나님이 내리시는 벌로 이해해야 할까”라고 물음을 던졌다.

그는 “나는 코로나19는 하나님의 심판이 아니라 ‘경고’라고 생각한다”며 “하나님의 심판이라고 하는 것은 예루살렘이 허물어지고 유대가 망하듯이 끝을 의미한다. 그 죄에 대해서 하나님이 벌을 주시고, 그들을 멸망시키시려는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항상 세계에 대해 포기선언을 하지 않으셨다. 그런 의미에서 인간에게는 심판일지 몰라도, 하나님에게는 한 번도 결정적 의미에서 심판은 있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또 다시 이러한 재앙을 겪지 않으려면 우리의 욕망과 욕심에서 돌아서야 한다”며 “그 욕망과 욕심에 기초한 천박한 자본주의와 바벨탑처럼 쌓아 올린 산업화의 결과들에서 돌아서야 한다. 우리의 욕망과 욕심으로 무너뜨린 환경을 회복해야 하고, 우리의 풍요를 위해 황폐해진 3세계의 경제를 회복해야 한다”고 했다.

조 교수는 “이제 우리가 경고라는 것을 안다면 돌이켜야 한다”며 “교회에서 우리는 이를 회개(悔改)라고 한다. 참회하여 고친다는 의미이다. 죄악 된 행동을 고친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런데 나는 더 다가오는 단어로 회심(回心)으로 표현하고 싶다. 마음을 돌이킨다는 뜻이다. 행동을 고치는 것은 분명 한계가 있다. 행동으로 이어지는 마음을 돌이켜야 한다. 그 근본을 바꾸어야 한다. 즉 욕망과 욕심을 버리고, 자제하고 나누어서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회복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코로나19 이후 한국교회에 나타난 놀라운 일은 거의 모든 교회가 빠르게 온라인 예배로 전환했다는 점”이라며 “최근 몇몇 교회에서는 설교를 3분 내지는 5분으로 요약 내지는 예고편 같은 형태로 만들고 있다. 이제 이것을 듣고 설교를 들은 것으로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더 나아가서는 예배나 설교 영상이 아니라 기독교 콘텐츠로 대체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 우리는 어디까지를 주일성수로 여길 수 있을지, 어느 것은 되고 어느 것은 안 되는지 선택의 순간이 올 것 같다”고 했다.

이어 “결국 불출석 교인과 비정규직 교인이 늘어날 것”이라며 “그 비율이 얼마나 될지에 대해서는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교회의 영향력은 교인수와 헌금액보다는 흔적을 남긴 플랫폼의 데이터에 의해 가늠이 될 것이다. 즉 신앙생활은 이제 반드시 교회출석 여부에 달려있지 않고, 오히려 그들의 정한 바에 있다는 의미이다. 즉 어느 순간 구독, 좋아요 숫자로 확인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현재 온라인 예배라고 하면 오프라인 예배의 실시간 중계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 그 수준에서 앞을 계획하고 있다”며 “그러나 매체가 변하면 콘텐츠도 변해야 한다. 현재 미디어 순위를 보면 TV와 유튜브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온다. 둘의 영향력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할 부분은 이제 설교자의 자격은 무의미하다는 점”이라며 “교단이 있고, 교회의 조직이 있기에 목사의 자격이 있고, 설교자의 자격이 있었다. 목회자가 된다는 것은 단지 설교의 능력만이 아니라 신앙적 인격과 신학적 소양, 그리고 목회 리더십 등이 갖춰져야 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러한 자격은 교단이나 노회를 통해 심사되어지고 지도된다. 그리고 각 교회공동체에서 청빙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고 했다.

그러나 “온라인상에서는 이런 자격이 필요 없다. 누구나 유튜브라는 간단한 통로를 통해서 자신의 이야기를 내놓을 수 있다. 유튜브의 특징은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크리에이터에 있다”며 “이제 평신도들에게 무한한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이제 이것이 어떤 파장을 만들어낼지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분명 긍정적인 측면이 많겠지만 부정적 요소 역시 존재한다”고 했다.

조 교수는 “앞으로 교회의 재정이 대폭 줄어들 것이다. 그것은 교인수의 감소에도 영향을 받지만 경제 불황 역시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면 따라 오는 것은 재정 감축”이라며 “앞으로 교회에서 재정 감축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그러면 감축해야 하는 순위는 어디일까? 아마 외부로 나가는 금액을 줄이는 것으로 풀리게 될 것 같다. 그러면 대부분 기관후원이 1순위일 것이고, 그 다음이 작은 교회나 선교지 등으로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한국교회는 구조조정에 있어서 현재의 기독교 NGO들에 대한 지원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며 “오히려 그 지원을 늘려야 한다. 현재 코로나19 이후 한국교회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사회적 신뢰성”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교회는 사회의 정책에 따라 변화해야 하고, 더 나아가서는 환경 문제에 있어서 주도권을 가질 만큼 민감하게 변해야 한다”며 “쓰레기 감량이나 디젤차를 환경차로 교체하는 것, 또는 에너지 자립이나 환경 친화적 건물 신축 및 변경 등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위기를 맞으면 ‘사회적인 공동체 의식’이 나타난다”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사람들은 서로 돕고 나누게 된다. 더 나아가서는 시민의식이 발현되고, 조직화되기도 한다”고 했다.

이어 “최근 코로나19 상황에서 몇몇 교회들은 오히려 지역에서 신뢰를 얻기도 했다”며 “교회가 지역 방역을 위해 앞장 섰으며 마스크 모으기를 통해 외국인 노동자들을 돌본 교회도 있다. 앞으로 가능한 것은 학생돌봄서비스 등이다. 이러한 역할을 감당하고 마을운동 등에 참여하면 교회가 지역에서 사회적 리더십을 얻고 사회적 신뢰도는 마음에서부터 일어날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리고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사회는 가속화 될 것이다. 이미 사회에 자리 잡은 비대면 사회의 일면들은 다양한 방면에서 나타나고 있다”며 “일부는 교회가 대면하지 못하면서 어떻게 공동체라고 하느냐 하지만, 새로운 세대는 온라인상에서, 오히려 우리가 사용하는 SNS에서 더 끈끈한 공동체 의식을 경험할 수 있다. 이에 기반 된 공동체의 재정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이제 이 시대에는 ‘가장 확실한 것은 변하지 않을 것은 없다’가 될 것”이라며 “이제 우리는 이러한 변화를 막을 수는 없다. 오히려 이러한 변화가 벼랑 끝에 매달려 있었던 한국교회의 활로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며 마치 포로기를 거치며 회당이라는 새로운 제도로 이스라엘이 이스라엘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처럼 이제 새로운 시대에 한국교회 역시 새로운 역사를 맞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