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여기 한 장의 사진이 있다. 언뜻 보면 화려한 네온사인이 건물마다 가득 드리워진 모습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사회주의제도 만세!'라는 선전구호에도 환하게 불을 밝혔다.

어떤 이는 이 사진을 보며 북한의 전기 사정이 그리 열악한 수준은 아니라며, 불야성을 이룬 밤풍경을 자랑삼아 말하기도 한다.

그런데 여기 또 다른 한 장의 사진이 있다. 바로 똑같은 지역을 낮에 촬영한 모습이다. 밤에 보였던 풍경과는 사뭇 다르다.

평양 밖 북조선 17

무엇보다 밤에 불을 휘황찬란히 밝혔던 곳은 바로 노동당 청사를 비롯한 공공건물과 선전화를 그린 대형그림판이다.

반면 주민들이 사는 집(살림집)은 암흑천지로 불빛 하나 보이지 않는다. 북중 국경의 밤은 불야성이 아니라, 북한 주민들의 아우성으로 채워지는 듯하다.

북중 접경에서 바라보는 모습과 해석이 전혀 다른 것처럼, 지금 우리 사회에서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도 그러하다.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북한 관련 뉴스는 평양의 즐비한 택시, 불야성을 이루는 평양거리, 대규모아파트, 대형쇼핑몰에서 물건을 사는 북한주민들의 모습 등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내용이었다.

심지어 우리가 그동안 북한을 너무 몰랐다는 이른바 '북맹'이라는 표현도 자주 등장했다.

평양 밖 북조선 17

그런데 지금 북한 관련 뉴스나 우리정부의 입장은 굶주리는 북한 주민들을 위해 대북지원을 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우리가 바라보는 정치적 필요에 따라, 북한의 경제상황은 그야말로 극과 극을 오간다. 마치 대북지원을 반대하는 것이 인도주의를 외면하는 악마인 양 프레임을 만들고 있다.

우리 안에 악마가 있는 것이 아니라, 숱한 사람들을 굶주림에 내몰면서도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를 감행하는 저 정권이 악한 것임을 바로 알아야 한다.

북한의 식량난은 갑작스런 재해나 사고로 인함이 아니다. 대북지원이 순수한 인도적 지원이 아니라 정치적 목적으로 악용되면, 그건 결코 인도주의라 말할 수 없다.

무엇이 진정 북한 주민들을 위한 길인가. 눈을 가리우고 귀를 막는 미혹한 어둠이 한반도에 드리워지고 있다. 과연 대북지원은 선이고 대북제재는 악일까?

강동완
▲강동완 교수는 책에서 "카메라를 들면 왜, 무엇을 찍으려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늘 앞선다. 렌즈 안에 비친 또 다른 세상에서 어떤 선택을 할지 끊임없이 싸운다. 그럴 때마다 단 하나의 약속만은 지키고자 한다. 그저 하나의 선택이 진실을 가리는 외눈박이만 아니면 좋겠다는 간절한 다짐"이라고 말했다. ⓒ강 교수 제공

글·사진 강동완 박사

부산 동아대 교수이다. '문화로 여는 통일'이라는 주제로 북한에서의 한류현상, 남북한 문화, 사회통합, 탈북민 정착지원, 북한 미디어 연구에 관심이 많다. 일상생활에서 통일을 찾는 '당신이 통일입니다'를 진행중이다. '통일 크리에이티브'로 살며 북중 접경지역에서 분단의 사람들을 사진에 담고 있다.

2018년 6월부터 8월까지 북중 접경에서 찍은 999장의 사진을 담은 <평양 밖 북조선>을 펴냈다. '평양 밖 북한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라는 물음을 갖고 국경 지역에서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그리고 최근 <그들만의 평양>을 추가로 발간했다. 이 책에서는 2018년 9월부터 2019년 2월까지 북중 접경에서 바라본 북녘 사람들의 가을과 겨울을 찍고 기록했다. 혁명의 수도 평양에서 '살아가는' 평양시민이 아닌, 오늘 또 하루를 '살아내는' 북한인민들의 억센 일상을 담아낸 것이다.

저자는 말한다. "강 너머 망원렌즈로 보이는 북녘의 모습은 누군가의 의도로 연출된 장면이 아닐 것이 분명하다. 북중 접경 지역은 바로 북한 인민들의 삶이자 현실 그 자체의 잔상을 품었다. 영하 30도를 넘나드는 두만강 칼바람은 마치 날선 분단의 칼날처럼 뼛속을 파고들었다. ... 그 길 위에서 마주한 북녘 사람들에게 안부를 묻고 싶었다. 그들을 사진에라도 담는 건 진실에서 눈 돌리지 않으려는 최소한의 몸부림이자 고백이다."

 

그들만의 평양 평양 밖 북조선
▲강동완 교수의 국경 사진첩 <그들만의 평양>과 <평양 밖 북조선>.

다음은 앞서 펴낸 <평양 밖 북조선>의 머리말 중 일부이다.

 

"북한은 평양과 지방으로 나뉜다. 평양에 사는 특별시민이 아니라 북조선에 살고 있는 우리네 사람들을 마주하고 싶었다. 2018년 여름날, 뜨거웠지만 여전히 차가운 분단의 시간들을 기록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999장의 사진에 북중접경 2,000km 북녘 사람들을 오롯이 담았다. '사람, 공간, 생활, 이동, 경계, 담음' 등 총 6장 39개 주제로 사진을 찍고 999장을 엮었다.

2018년 4월 어느 날, 두 사람이 만났다. 한반도의 운명을 바꿀 역사적 만남이라 했다. 만남 이후, 마치 모든 사람들이 이제 한 길로 갈 것처럼 여겨졌다. 세상의 외딴 섬으로 남아 있던 평양으로 사람들이 하나둘 오가기 시작한다. 하지만 그 발걸음은 더디며, 여전히 그들만의 세상이다. 독재자라는 사실은 변함없고 사람이 사람답게 살지 못하는 거대한 감옥이다.

북중접경 2,000km를 달리고 또 걸었다. 갈 수 없는 땅, 가서는 안 되는 땅이기에 압록강과 두만강 건너 눈앞에 허락된 사람들만 겨우 담아냈다. 가까이 다가설 수 없으니 망원렌즈를 통해서 조금이라도 더 당겨서 보고 싶었다. 0.01초 셔터를 누르는 찰나의 순간 속에 분단의 오랜 상처를 담고자 했다.

대포 마냥 투박하게 생긴 900밀리 망원렌즈에 우리네 사람들이 안겨왔다. 하지만 거기까지였다. 허락되지 않은 공간에서 망원렌즈로 찍는 것도 분명 한계가 있었다. 렌즈의 초점을 아무리 당겨보아도 멀리 떨어진 사람은 그저 한 점에 불과했다.

사진은 또 다른 폭력적 무기가 될 수도 있다는 말을 들은 터라, 무엇을 어떻게 담아야 할지 고민스러웠다. 시야에 들어오는 북녘의 모습을 가감 없이 전하고 싶었다.

셔터를 누르는 사람의 의도로 편집된 모습이 아니라, 눈에 보이는 그대로 담고자 했을 뿐이다. 새벽부터 해질 때까지 손가락은 카메라 셔터 위에 있었고, 눈동자는 오직 북녘만을 향했다."